개인 공부 2

Git&Github 기본 활용법 (왕초보도 할 수 있다!)

들어가기 앞서이 글은 깃과 깃허브에 대해 서툰 지인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친분이 있는 지인을 위해 쓴 글이라 조금 과격한 표현이 있음을 미리 알립니다.가정: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파서 처음부터 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한다0.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만든다.1. 로컬에서 깃을 생성할 프로젝트 경로의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수행한다.>> git init(이제부터 이 프로젝트는 깃 프로젝트다. 이 시점부터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다.)2. 최초 또는 파일 수정 이후 수정사항을 저장하고 싶다면, 즉 깃에 커밋 푸시하고 싶다면 다음 절차를 따르면 된다.>> git add .(변경된 파일을 모두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. 특정 파일만 따로 올리고 싶으면 git add [파일 이름] 이렇게 쓰면 된다. 근데 ..

데이터셋을 전처리 해보자 (1)

데이터셋은 AI-Hub의 '감성 대화 말뭉치'를 가져와서 사용하였습니다. https://aihub.or.kr/aihubdata/data/view.do?currMenu=115&topMenu=100&dataSetSn=86 AI-Hub샘플 데이터 ? ※샘플데이터는 데이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별도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정보로써 원본 데이터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, 데이터에 따라서 민감한 정보는 일부 마스킹(*) 처리가 되aihub.or.kr colab에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.from google.colab import drive drive.mount('/content/drive') # 구글 드라이브를 마운트 합니다.path = "/content/drive/MyDrive/Colab Notebooks/data/Em..